관절은 양쪽 귀의 바로 앞에 있으며 턱뼈와 머리뼈를 연결하는 관절입니다.
턱관절은 모든 턱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음식을 씹거나 말하는 것과 같은 턱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턱근육은 턱에 부착되어 있으면서 턱을 움직이게 하고 턱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턱관절과 턱근육은 기능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턱관절의 병과 턱근육의 병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서로 별개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 통증 : 입을 벌리고 다물거나 씹을 때
- 관절음 : 입을 벌리고 다물거나 씹을 때
- 비정상적인 턱 운동 : 입을 벌릴 때 걸리는 느낌, 입이 크게 벌어지지 않음, 입을 벌릴 때 틀어지는 경우 등
- 두통 : 특히 관자 놀이에 발생하는 통증
- 귀 통증, 귀 충만감, 이명 등 : 이비인후과 검사상 정상인 경우
- 머리, 목, 어깨 통증
- 치통 : 치과 검사상 정상인 경우
- 위 아래 치아가 서로 잘 안 맞는 경우
- 안면 비대칭의 심화 : 골관절염이 심한 경우
턱관절 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교통 사고, 턱을 맞거나 부딪히는 경우 등의 외상에 의한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서 턱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것 즉 구강 악습관이 가장 중요한 원인 인자로 작용합니다.
대표적인 악습관
- 잠 잘 때 이갈기
- 평소에 이를 꽉 깨물고 있기
-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즐겨먹는 경우
- 껌 씹기
- 한 쪽으로만 음식 씹기
- 입을 너무 자주 크게 벌리고 있는 경우
- 엎드려 자거나 턱 괴는 습관
- 앞니로 손톱이나 입술 물어 뜯기 등
이 모두 턱관절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단일 원인만 있는 경우보다 더 많은 복합 요인을 가진 경우가 더 우세합니다.
- 관련 문진표 작성 및 예진
- 턱관절 임상 검사 및 구강내 검사
- 방사선 사진 : 파노라마(일반, 특수) 및 필요시 치과용 CT
치료법(수술법은 되도록이면 피합니다)
- 약물치료
- 물리치료(온열요법, 초음파, 전기자극 요법 등)
- 악관절 수조작술(급, 만성 과두걸림의 경우)
- 보툴리늄 독소 주입(보톡스)
- 구강내 장치 치료(안정 장치, 전방위치장치, 악간견인 장치; Cho’s app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