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편한치과의원

특수클리닉

1. 구강점막질환(구내염)

구강점막질환이 있을 때에는 입안이 따갑거나 화끈거리는 느낌이 들고 특히 음식을 먹을 때 고통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입에서 냄새가 나서 본인이나 주변 사람들을 불쾌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일정하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때로는 증상의 악화와 완화가 반복되기도 합니다.
어떤 구강점막질환은 피부병과 같이 생기기도 하고, 때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조직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강점막질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치료방법도 병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납니다. 대체적으로 부신피질호르몬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면역억제제 등의 약물이 치료용으로 많이 쓰이지만, 구강위생개선, 영양개선, 스트레스경감 등의 보조적인 요법도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최근에는 레이저치료법이 구강점막질환의 치료에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2. 턱관절과 관련된 두통

턱관절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은 두통 중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서 머리가 조여들거나 무겁거나 욱신거리는 느낌으로 나타납니다.
대개 머리의 양쪽에서 통증을 느끼며 오전보다는 오후에 더 심합니다. 통증의 강도는 일정하지 않지만 극심하게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스트레스나 근육의 긴장이 긴장성 두통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밖에 다른 이갈이, 이악물기와 같은 원인도 관계됩니다.
긴장성 두통의 치료를 위해서는 약물요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행동요법과 물리치료구강장치 치료를 함께 시행하는 경우에 더 좋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보톡스 주사가 긴장성 두통의 치료법으로 추천되기도 합니다.





3. 구강안면통증

입과 얼굴은 신경분포가 조밀하고 심리적으로 예민한 부위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통증성 질환의 주된 표적이 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통증성 질환으로 비정형 치통, 삼차신경통, 구강작열감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은 대부분 신경병변성 통증의 특징을 나타내고 만성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진통제의 복용과 같은 통상적인 치료법으로는 잘 치료가 되지 않습니다. 최근에 신경병변성 통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이러한 통증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새로운 약제와 치료법이 계속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들 약제는 대부분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에 영향을 주거나 신경세포막에 있는 이온통로의 기능을 변화시킴으로써 통증전달을 억제하는 효과를 냅니다.
만성 통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또 다른 고려사항은 이들 환자가 불안이나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만성 통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적절한 약물요법과 함께 심리적 치료를 병행할 필요가 있으며,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통증을 극복할 수 있는 용기와 삶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Blog Instagram 고객상담
상호 : 특편한치과의원 대표자 : 김진화외 1명 사업자번호 : 768-90-00451
주소 : 창원시 성산구 용지로 133번길 5, 5층 501호(중앙동, 키다리빌딩) 전화 : 055-287-9075,9076 팩스 : 055-287-9077
Copyright (c) Tmdclinic. All rights reserved.